VScode에서 GitHub의 코드 가져오기 / 수정 및 커밋

Git을 왜 사용해야 할까?

                                                                                                                                                                                                                        
Git을 사용하는 가장 결정적인 이유는 간단하다. '협업'.
프로그램의 개발 특성상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하는데, 자신이 작성한 코드를 일일이 모든 인원에게 전달하는 것은 굉장히 비효율적인 방법이다. 

물론, 소수의 개발인원이라면 '굳이..?'라는 말이 나오지만.
GitHub의 기능중 하나인 'Branch(브랜치)'로 인해, 소규모 개발인원이라도 GitHub를 사용하는게 더 용의하다.

Branch 한글로 나뭇가지를 뜻하는 이것은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독립적인 작업 공간' 또는 '버전 관리'를 위한 용어로 사용된다.

여기서 버전 관리는 굉장히 중요한데 예시를 들어보겠다.

만약, 프로그래머가 원본 코드에서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추가하고자 원본 코드에 자신의 코드를 추가했다. 그러나, 프로그래머가 추가한 코드로 인해 전체적인 코드의 완성도가 굉장히 떨어지고 결함이 많이 발생하는 등 원본 코드에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했을 때. 원본 코드를 별도로 저장하지 않고 그대로 작성했을 때.

이때, GitHub의 Branch를 통해 이전 버전. 즉, 프로그래머가 자신의 기능을 추가하지 않는 코드를 곧바로 불러올 수 있다.

브랜치는 나뭇가지.
나뭇가지는 굵은 나뭇가지와 잔가지(앏은 나뭇가지)로 존재하며

굵은 나뭇가지(핵심 코드)에서 추가로 시도할만한 기능을 추가 하는 얇은 나뭇가지(기능 추가)를 통해 코드를 저장하고 버전을 관리하는 기능이다.

< 브랜치 예시 >

굵은 나뭇가지는 주황색의 버전을 뜻하고, 얇은 나뭇가지는 푸른색의 버전을 뜻한다.

이때, 프로그래머는 다양한 방식으로 코딩을 할 수 있기에 여러 오류사항이 생길수가 있다. 그렇기에 전체 코드가 망가지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GitHub를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예시로, 그림상 Ver_6에 해당하고 있을 때. "난, 초기 버전으로 다시 시작하고 싶어!" 라는 생각이 들었을 때 Ver_1버전의 코드를 곧바로 가져와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브랜치란
협업의 효울성 /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개발 / 체계적인 버전 관리 / 격리된 개발 환경 / 코드의 무결성

등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기에 GitHub를 사용하는 개발방식이 효율적이다.

                                                                                                                                                                                                                        

Git 설치

Git 설치 링크: https://git-scm.com/downloads

자신에게 맞는 운영체제를 다운로드 받고 설치합니다.


                                                                                                                                                                                                                        

VScode에서 Git 저장소 코드 가져오기.

1. VS Code 실행

2. 명령 팔레트 열기
 - Ctrl+Shift+P 를 누르면 된다.

3. Git : Clone 또는 Git: 복제 를 검색한다.

4. 계정 선택 또는 저장소 URL
URL의 경우는 GitHub 웹사이트로 들어가서, 가지고 오고싶은 코드의 저장소에서

<> Code 라는 초록색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링크가 나온다.
해당 링크를 복사하여 입력하면 자동으로 코드를 가지고올 수 있다. 

4_1. 가지고올 저장소 선택

5. 저장할 폴더 선택 및 가지고온 코드 확인

                                                                                                                                                                                                                        

VScode에서 수정된 코드 Git에 커밋하기

1. 코드 수정.
 - 가지고 온 코드를 수정하고 싶은 만큼 수정하고, Ctrl + s를 통해 저장한다. 

2. 소스 제어 뷰 를 연다. 
 - Ctrl + Shift + G를 누르거나, 왼쪽 사이드바 세번째 아이콘을 클릭.

3. 커밋 메시지 입력 후 변경사항 스테이징
 - 커밋 메시지란, 사용자가 어떤 부분을 수정했고 추가했는지 다른 팀원에게 설명하는 공간이다.
 - 변경 사항 옆에있는 + 아이콘을 클릭

                 >                  
                                                       
 이때, 어느 부분이 수정하여 추가된 부분인지 확인할 수 있다.

4. 커밋 실행
 - 그 다음, 커밋 버튼을 클릭하면 변경내용 동기화 라는 버튼이 생성된다.

변경 내용 동기화 버튼을 클릭하면

위와같은 창이 뜨는데,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이로써, Git에 저장된 저장소의 코드가 정상적으로 수정(커밋)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소스 제어 하단을 보면 커밋을 할 당시, 입력한 메시지가 추가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공간을 통해 어느 기능이 추가된 버전인지 확인할 수 있고, 해당 기능이 오류가 많이 발생하거나 싫다면 이전 버전으로 돌아갈 수 있다. 즉, 해당 부분은 브랜치와 관련된 부분이다.

이때 커밋이란?
프로젝트의 현재 상태를 특정 시점으로 저장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간단하게 '체크 포인트'

브랜치의 가지부분을 분할할때도 커밋을 통해 가지를 여러개로 만들 수 있으며, 과거로 돌아가는 등 브랜치와 커밋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CLI(Command Line Interface) 친해지기

VScode의 리액트 기능을 통한 웹사이트 개발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