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code의 리액트 기능을 통한 웹사이트 개발 방법

웹사이트를 만드는 방법은 아주 다양하다. 

그저 간단하게, 메모장에 html코드를 작성하여 .html로 저장하는 방식으로도 기초적이긴 하지만 만들 수 있고 VScode와 같은 IDE를 활용하여 만들수 있다.

여기서는 VScode의 리액트 기능을 통해서 웹사이트를 개발하는 기초 단계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런 생각을 할수있다.

굳이? 굳이 왜 VScode에서 그리고 왜? 리액트라는 기능을 사용해야 하는가? 라는 의문을 말이다.

그에 따른 대답은 간단하다.
직관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진행상황을 바로바로 볼 수 있으니까.

VScode의 리액트 기능을 사용하면, VScode에서 코드를 지속적으로 동기화 하여 사용자가 VScode에서 수정 및 추가. 그리고 제가하는 부분들을 곧바로 반영해주고. 오류가 발생하면, 어느 코드가 문제가 있는 지 등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또한, VScode의 라이브러리 기능을 통해서 폭넓은 개발환경을 지원해주기 때문이다.

사전준비

Node.js 설치 https://nodejs.org/ko/
VScode 설치

검색창에 PowerShell 검색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Set-ExecutionPolicy -ExecutionPolicy RemoteSigned 
명령어 입력 후 엔터.

1. VScode 접속

- 바탕화면에, 프로젝트를 진행할 임의의 폴더를 생성한다.
- VScode에 접속하여, 상단의 [파일] > [폴더 열기] 를 클릭하여 전에 생성한 임의의 폴더를 선택한다.

2. VScode의 터미널에서 리액트 설치

- 상단의 [터미널] > [새터미널]

터미널에 PS C:\Users\yangg\Desktop\test> 와 같은 폴더 경로가 나오면 정상이다.
여기서 npx create-react-app <원하는 이름> 을 입력하면 정상적으로 설치를 시작한다.

ex) PS C:\Users\yangg\Desktop\test> npx create-react-app ttest
y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리액트가 설치된다.

정상적으로 설치가되면 위와같은 메시지와 함께, 새로운 폴더 및 파일들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리액트 실행

- 터미널에 만들어진 리액트 폴더로 진입하여 명령어를 입력해준다.

PS C:\Users\yangg\Desktop\test> cd .\ttest\
PS C:\Users\yangg\Desktop\test\ttest> 

위의 경로를 보면, 리액트를 설치했을때 정했던 ttest디렉토리로 경로를 수정한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설치된 경로에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한다.
PS C:\Users\yangg\Desktop\test\ttest> npm start


그러면, 자동으로 웹사이트가 열리게 된다.

리액트는 기본적으로 3000포트를 사용하기에, 주소는 http://localhost:3000/ 와 같은 상태이다.
그렇기에, 만약 리액트를 실행했음에도 웹사이트가 열리지 안는다면. 

크롬의 주소창에 http://localhost:3000/ 을 입력하면 위와같은 페이지가 나타난다.

이게 리액트의 첫 초기 화면이자, 웹사이트 개발을 시작하는 기반 단계이다.
이제, 리액트의 Public 디렉토리와 src 디렉토리를 관리하고 파일들을 수정 및 추가하며 웹사이트를 개발할 수 있다.




간단하게나마 html의 구조나, 코딩 예제와 같은 부분을 통해 학습을 도움을 주고자 했으나

문뜩 그런생각이 들었다.

지금은 인공지능의 시대.
사용자가 하고자하는 의지만 있다면, 그 누구보다 친절하고 빠르게 피드백이 가능한 유능한 비서들이 넘쳐나다는 사실을 말이다. 

그렇기에 인공지능과 함께 자신만의 홈페이지를 개발하는 경험을 하는 것을 추천하는 바이다.

추가로.
이와같이 인공지능과 함께 개발하는 것을 '바이브 코딩'이라고 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CLI(Command Line Interface) 친해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