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티(unity) 허브 실행 및, 간단한 플레이어 조작 스크립트 적용

이미지
게임 개발자를 생각하고 있다면, 우리는 유니티 엔진 혹은 얼리언엔진에 친숙해져야 한다. 이들 중 이 블로그는 유니티 엔진에 대해서, 간단하게 시작하는 단계를 알려주고 기초적인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실습을 하겠다.  유니티 허브를 실행하면 위와같은 창이 나타난다. 초기 설정값은 언어가 영어로 표시되기 때문에, 설정에서 언어를 한글로 변경할 수 있다. 설치할 릴리스는 2022.3.22f1으로 선택하여 설치하면 된다. 아무튼, 새 프로젝트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표시된다. 유니티 엔진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처럼 기본적인 템플릿을 지원해주기에 원하는 것을 선택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된다. 본 블로그는, 2D환경으로 실습을 진행할 것이기에 2D 코어를 선택했다. 프로젝트 명을 원하는 이름으로 정한 뒤 프로젝트 생성을 누르면, 자동으로 프로젝트가 생성되고 다운로드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아주 간단하게 오브젝트 생성 및 키보드 조작(좌우 이동 / 점프) 실습을 진행하겠다. 유니티 엔진은 기본적으로 중력을 설정할수 있다. 그렇기에, 해당 화면에서 플레이어만 생성하고 중력을 설정하면 어떻게 되겠는가? 플레이는 끊임없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그렇기에 땅을 만들어줘야 한다. 왼쪽의 Hierarchy 창에서 우클릭 2D Object -> Sprites -> Square 클릭 하면, 화면에 바로 사각형 모양의 2D오브젝트가 생성된다. 해당 오브젝트는 마우스로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고, 오른쪽 창의 Inspector의 Transform으로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번 실습은 간단한 실습이기에 마우스로 생성한 오브젝트를 아래로 옮기고, 크기를 변형하여 땅을 형성한다. 그 다음, 충돌 감지를 추가하기 위해 Inspector창에서 Add Component 버튼 클릭 -> Box Collider 2D 검색 후 추가한다. Box Collider 2D가 추가된것을 확인되었다면, 땅은 이제 기초적인 공사는 끝났다. 이제 다음으로, 플레이어를 ...

Android Studio의 가상 디바이스

이미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는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특화되어 있으며, 가상머신을 지원해 주기에 사용자가 코딩을 수정하거나 추가 및 제거하면 곧바로 가상머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상머신인 만큼 다양한 버전의 가상 핸드폰에서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시작하면 위와 같은 창이 뜨는데, 간단한 템플릿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현 블로그는 가상머신을 사용하는 것 까지만 안내하기에, No Activity를 클릭하면 된다. 상세 항목을 보면 무언가 입력해야하는 창이 많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Name: 프로젝트의 이름 Package name: 애플리케이션 고유 식별자 Save location: 프로젝트 파일의 저장 위치. Language: 사용할 언어 (Kotlin / Java) Minimum SDK: 앱이 지원할 가장 낮은 안드로이드 버전 Build configuartion Language: 빌드 스크립트를 작성하는데 사용될 언어. 이렇게 나타나있다. 위의 정보를 모두 입력하고 하단의 Finish를 클릭하면 본격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다. 왼쪽, 상단을 보면 Project를 구성하는 폴더와 파일들이 기본적으로 제공해준다. 이곳에서 본인이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파일을 선택하여 코드를 작성하면 된다.  app/kotlin+java/com.example.test (메인 소스 폴더)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로직을 담는 코드 파일들이 위치한 곳이며, 가장 많이 사용됨. app/manifests/AndroidManifest.xml 앱의 전반적인 정보를 시스템에 알리는 설정파일. 앱의 패키지 이름/실행 아이콘/테마/사용 권한/앱을 구성하는 핵심 컴포넌트를 선언 및 관리 예시로, 새로운 화면(Activity)를 추가하거나, 특정기능(카메라/위치정보 등)을 사용하기 위한 권한을 추가할때 등등 사용한다. app/res/values/strings.xml 버튼의 이름, 화면 제목, 안내 메시지 등 앱 내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모...

VScode의 리액트 기능을 통한 웹사이트 개발 방법

이미지
웹사이트를 만드는 방법은 아주 다양하다.  그저 간단하게, 메모장에 html코드를 작성하여 .html로 저장하는 방식으로도 기초적이긴 하지만 만들 수 있고 VScode와 같은 IDE를 활용하여 만들수 있다. 여기서는 VScode의 리액트 기능을 통해서 웹사이트를 개발하는 기초 단계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런 생각을 할수있다. 굳이? 굳이 왜 VScode에서 그리고 왜? 리액트라는 기능을 사용해야 하는가? 라는 의문을 말이다. 그에 따른 대답은 간단하다. 직관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진행상황을 바로바로 볼 수 있으니까. VScode의 리액트 기능을 사용하면, VScode에서 코드를 지속적으로 동기화 하여 사용자가 VScode에서 수정 및 추가. 그리고 제가하는 부분들을 곧바로 반영해주고. 오류가 발생하면, 어느 코드가 문제가 있는 지 등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또한, VScode의 라이브러리 기능을 통해서 폭넓은 개발환경을 지원해주기 때문이다. 사전준비 Node.js 설치 https://nodejs.org/ko/ VScode 설치 검색창에 PowerShell 검색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Set-ExecutionPolicy -ExecutionPolicy RemoteSigned  명령어 입력 후 엔터. 1. VScode 접속 - 바탕화면에, 프로젝트를 진행할 임의의 폴더를 생성한다. - VScode에 접속하여, 상단의 [파일] > [폴더 열기] 를 클릭하여 전에 생성한 임의의 폴더를 선택한다. 2. VScode의 터미널에서 리액트 설치 - 상단의 [터미널] > [새터미널] 터미널에 PS C:\Users\yangg\Desktop\test> 와 같은 폴더 경로가 나오면 정상이다. 여기서 npx create-react-app <원하는 이름> 을 입력하면 정상적으로 설치를 시작한다. ex) PS C:\Users\yangg\Desktop\test> npx create-react-app ...

VScode에서 GitHub의 코드 가져오기 / 수정 및 커밋

이미지
Git을 왜 사용해야 할까?                                                                                                                                                                                                                         

CLI(Command Line Interface) 친해지기

이미지
 CLI(Command Line Interface) 친해지 기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인터페이스는 여러가지가 존재합니다. 그들 중 대표로 3가지의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고 그중 CLI의 환경에서 익숙해지는 방법을 서술하겠습니다.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인터페이스는 대표적으로 3가지가 있다. 1.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2. CUI (Character User Interface) 3. CLI (Command Line Interface) 각각 상세하게 예시를 들어서 설명하자면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그래픽 요소(아이콘, 버튼, 윈도우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와 컴퓨터가 상호작용 한다. ex) Windows, mac 등의 운영체제 CUI (Character User Interface) 텍스트 기반의 인터페이스로, 명령어를 입력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ex) DOS, UNIX 등 GUI운영체제가 나오기 전 운영체제 CLI (Command Line Interface) 명령줄을 통해 입력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한다. ex) 터미널, 콘솔, CMD. 왜 GUI가 있는데 CUI와 CLI를 알아야 할까? GUI는 굉장히 효율적인 인터페이스입니다. 여타 알고 있듯이 바탕화면에서 단순히 폴더를 생성한다고 생각한다면 마우스 클릭 몇번이면 순식간에 생성할 수 있다. 허나, CUI나 CLI는 직접 키보드로 타이핑 하여 명령어를 입력해야만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있다. 이렇듯 GPU가 더 간편하고 효율적인데 어째서 우리는 CUI나 CLI를 알아야 할까? 그 이유는 간단하다. GUI의 운영체제는 컴퓨터의 시스템을 건들이는 과정이 굉장히 보수적이다. 혹은 아예 접근 자체를 막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CLI를 이용한다면 시스템 관리를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을 읽는 분이 개발자를 목표로 잡으셨다면 GUI환경보다 CUI, CLI환경에 더 익숙해져야 한다. 해당 환경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