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티(unity) 허브 실행 및, 간단한 플레이어 조작 스크립트 적용
게임 개발자를 생각하고 있다면, 우리는 유니티 엔진 혹은 얼리언엔진에 친숙해져야 한다. 이들 중 이 블로그는 유니티 엔진에 대해서, 간단하게 시작하는 단계를 알려주고 기초적인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실습을 하겠다. 유니티 허브를 실행하면 위와같은 창이 나타난다. 초기 설정값은 언어가 영어로 표시되기 때문에, 설정에서 언어를 한글로 변경할 수 있다. 설치할 릴리스는 2022.3.22f1으로 선택하여 설치하면 된다. 아무튼, 새 프로젝트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표시된다. 유니티 엔진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처럼 기본적인 템플릿을 지원해주기에 원하는 것을 선택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된다. 본 블로그는, 2D환경으로 실습을 진행할 것이기에 2D 코어를 선택했다. 프로젝트 명을 원하는 이름으로 정한 뒤 프로젝트 생성을 누르면, 자동으로 프로젝트가 생성되고 다운로드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아주 간단하게 오브젝트 생성 및 키보드 조작(좌우 이동 / 점프) 실습을 진행하겠다. 유니티 엔진은 기본적으로 중력을 설정할수 있다. 그렇기에, 해당 화면에서 플레이어만 생성하고 중력을 설정하면 어떻게 되겠는가? 플레이는 끊임없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그렇기에 땅을 만들어줘야 한다. 왼쪽의 Hierarchy 창에서 우클릭 2D Object -> Sprites -> Square 클릭 하면, 화면에 바로 사각형 모양의 2D오브젝트가 생성된다. 해당 오브젝트는 마우스로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고, 오른쪽 창의 Inspector의 Transform으로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번 실습은 간단한 실습이기에 마우스로 생성한 오브젝트를 아래로 옮기고, 크기를 변형하여 땅을 형성한다. 그 다음, 충돌 감지를 추가하기 위해 Inspector창에서 Add Component 버튼 클릭 -> Box Collider 2D 검색 후 추가한다. Box Collider 2D가 추가된것을 확인되었다면, 땅은 이제 기초적인 공사는 끝났다. 이제 다음으로, 플레이어를 ...